유형별 예산 규모를 보면 실업 소득 유지·지원 10조3000억원, 고용장려금 6조5000억원, 직접 일자리 2조9000억원 순이다. 지난해 대비 예산 증가 규모는 실업 소득 유지·지원이 2조4000억원(30.7%)으로 가장 크고 직접 일자리(8000억원·37.6%)가 뒤따랐다. 노인 일자리는 직접 일자리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꼽힌다.
올해 노인 일자리는 지난해(61만명)보다 13만명 증가한 74만명으로 늘어날 계획이다. 이 중 54만3000개는 '공익 활동형' 일자리로 채워진다. 지난해 공익 활동형 일자리의 월평균 보수는 27만원이었다. 이를 올해 기준으로 적용하면 74만명의 73%는 월 30만원도 못 버는 셈이다. 월평균 30시간을 근무하고 27만원을 버는 데, 정부가 인위적으로 개입해 만든 '공익 활동형' 일자리는 쓰레기 줍기, 학교 급식 지원 등 단순 업무가 많고 근무시간이 짧아 직업 안정성이 떨어진다.
민간 노동시장 수요에 따라 고용이 창출되는 '민간형'은 13만개에 불과했다. 민간형 일자리는 기업 등이 매장을 운영하면서 노인을 채용하는 '시장형 사업단', 경비·간병인 등 관련 직종 업무능력 보유자를 연계해주는 '취업 알선형', 노인 다수 고용기업을 지원하는 '고령자친화기업', 인턴 후 계속 고용 유도를 목적으로 인건비를 지원하는 '시니어 인턴십' 등으로 나뉜다. 평균 보수는 30만~170만원으로 공익활동형 일자리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성이 있다.
한편 정부가 추진하는 직접 일자리 사업을 보면 공익활동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늘고 민간형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정부는 양질의 지속가능한 민간형 노인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정책방향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보고서를 통해 "노인이 근무하기 적합한 직종·직무의 개발 및 보급, 재취업 의사가 있는 노인에 대해 경험 및 역량에 기반한 맞춤형 교육 훈련 및 일자리 매칭 등 고용 서비스 강화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