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인구변동
  2. 저출산

‘인구절벽’ 비상 걸린 지역들

전국 최저 조출생률 ‘부산’, 출생아수 곤두박질...경북道, 고령화 속도 ‘심각’

글  김성훈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인구 고령화, 생산인구감소 등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통계청 자료가 발표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에 인구절벽 등의 문제는 직접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부산시의 경우 올 상반기 부산의 출생아 수가 9000명에도 못 미치고 특히 20~30대 젊은층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이나 경남 등지로 빠져 나가면서 해마다 인구가 2만여명씩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지난 8월28일 발표한 ‘2019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부산의 6월 출생아수는 1360명으로, 지난해 6월(1659명)보다 18%나 감소했다.
  
6월의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수)은 4.9로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추정되는 합계출산율은 2분기 기준 부산은 0.83으로 1분기(0.90)보다 더 떨어졌다. 올해 6월까지 부산지역 출생아도 총 8968명으로 작년 상반기의 1만308명)보다 13% 줄어드는 등 감소율이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국 출생아 수는 15만8524명으로 지난해 17만1800명 보다 7.7% 감소했다.
 
광역 자치단체 중 부산이 특히 저조한 현상을 보이는 것은 지역 젊은층이 타지역으로 유출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역 거점 도시의 쇠락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인구감소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고, 질 좋은 제조업 일자리가 외곽으로 떠나면서 소득 기반마저 흔들리고 있다.
 
전망도 밝지 않다. 부산의 유소년 인구(0~14세) 비중은 11.5%로 전국 평균(13.6%)에 못 미친다. 가장 젊은 도시인 세종(18.2%)과 비교하면 격차가 상당하다.
 
부산은 노인 인구(65세 이상) 비중이 15.5%로 7대 광역시 중 가장 높고 고령화 속도 역시 빠르다. 고령화 지역(전체 인구 중 노인 인구 비중 7~14%)에 속한 건 전국 평균(2000년)보다 3년 느렸지만, 고령지역(노인 인구 비중 14~20%)은 3년 빠른 2015년에 진입했다.
 
박인호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상임의장은 “부산 출산율 감소는 특히 경기불황으로 생산시설이 부족해 청년들이 직장을 찾아 다른 지역으로 떠나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며 "부산의 출산율을 높이고 도시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늘리고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추진동력을 마련하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부산시는 임신·출산부터 양육까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출산지원금(둘째 50만원, 셋째이후 150만원) 및 출산용품(10만원 상당)을 지원하고 영유아(5세이하) 보육료(29만8000원∼93만9000원) 및 가정양육수당(10만∼20만원) 도 준다.
 
부부가 함께 아이를 키우는 '와따 100인의 부산 아빠단'을 상·하반기)로 확대 운영하고 육아맘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 지원 '맘스 컬쳐데이'도 연 6회로 늘렸다.  아울러 출산·양육 가정의 육아부담을 덜어주는 ‘부산아이 다가치키움 보육정책’과 두 자녀 이상 가정의 둘째 자녀부터 초등학교 ‘입학축하금’ 20만원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시책을 펴고 있다.
 
행복한 출산과 평등 육아를 위한 부모 맞춤형 교육과 ‘아빠육아 골든벨’개최 및 ‘엄마아빠가 다니는 행복육아 스쿨'도 운영한다. 장시간 돌봄이 필요한 맞벌이 가정을 위해 모든 어린이집을 오후 7시 30분까지 의무 운영하고 정부 미지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의 차액보육료를 전액 지원한다.
 
또 부산시와 불교·기독교·천주교 3대 종교단체는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부산’을 만들기 협약을 체결했다. 시와 종교단체는 ▲출생의 중요성과 생명의 소중함을 시민과 각 종교단체 신도 등에게 알리고 ▲검소하고 의미있는 결혼과 신혼 출발 문화 확산 ▲남녀 공동 육아 장려 등 출생과 양육하기 좋은 분위기 조성 ▲저출생·고령화 현상에 따라 세대 간 소통 및 존중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한편 경상북도의 출생아 수도 매년 급감해 고령화 속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6월까지 경북의 누적 출생아 수는 768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520명보다 9.8%나 줄었다. 지난 한 해 동안의 출생아는 1만6079명으로 2008년 2만3538명에 비해 31.47%가 줄었다. 지난해의 전국의 출산율은 0.98명으로 전세계에서 유일한 '0명대'를 기록했고 경북은 1.17명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2016년부터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지면서 소멸 위기 시군도 늘어나고 있다. 2015년의 출생아 수는 2만2310명, 사망자 수는 2만862명이었으나 2016에는 각각 2만616명, 2만978명으로 수치가 역전됐다.
 
이후 출생아 수는 2017년 1만8211명, 지난해 1만6079명으로 갈수록 줄었고 사망자 수는 2017년 2만1279명에서 지난해 2만2300명으로 갈수록 많아지면서 출생아 수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전남(178.5)에 이어 경북이 164.5로 두 번째로 높다. 군위군이 687.8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고 의성군이 646.6, 청도군이 559.6을 나타냈다.
 
전국 노령화지수 톱 15에는 경북의 6개 군(군위, 의성, 청도, 청송, 영양, 영덕)이 포함돼 있을 정도로 경북도의 고령화 속도는 심각한 수준이다.
 
또 올해 전국의 인구는 지난해보다 늘었으나 경북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전국의 인구는 5180만1449명에 올해 7월 5184만5612명으로 4만4163명(0.09%) 늘었으나 경북은 268만1090명에서 266만8836명으로 1만2254명(0.46%)이 줄었다.
 
도내 시군 가운데 지난해 6월에 비해 올해 7월 인구가 늘어난 곳은 경산시(407명), 예천군(111명), 군위군(24명), 울릉군(18명) 뿐이었고 나머지 시군은 모두 줄었다. 인구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경주시(267명), 안동시(218명), 상주시(141명), 영천시(120명), 문경시(113명), 영주시(106명), 김천시(100명) 등 순이었다.
 
 

 

[입력 : 2019-09-05]   김성훈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