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인구변동
  2. 건강정보

늙고 있는 대한민국...“30년 후에는 환갑이 중간 나이”

통계청, 2017~2047년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발표...전남북·경북·강원 인구 10명 중 1명이 85세 이상 노인, 내년부터 베이비부머 고령인구 진입, 유소년·생산연령인구 감소

글  백두원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통계청이 고령화와 관련해 암울한 수치를 내놨다. 한마디로 급속한 고령화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대략 30년 후에는 전남북·경북·강원 지역의 중간 나이가 60세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또 내년부터 베이비부머(1955년~1964년 사이 출생자)세대가 ‘노인’으로 본격 진입하면서 고령인구는 급증하기 시작해 2047년 200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6월 27일 ‘2017~2047년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을 발표했다. 2017년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를 기초로 최근 시도별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변동요인을 가정하고, 향후 30년(2017~2047년)간의 시도별 장래인구를 전망한 결과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국 중위연령(Median age)은 지난 2017년 42.0세에서 2020년 43.7세, 2025년 46.7세, 2030년 49.5세, 2035년 52.2세, 2040년 5.4세, 2045년 56.1세, 2047년 56.8세로 전망됐다. 중위연령이란 전체 인구를 연령순대로 늘어놨을 때 한 가운데 있게 되는 사람의 연령을 말한다. 향후 30년간 중간 나이는 지금보다 14.8세 높아진다는 얘기다.
   
시·도별로 보면 2017년 세종(36.6세)과 대전(39.8세), 광주(39.9세)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중위연령이 이미 40세를 넘어섰다. 2047년에는 전남 63.1세, 경북 62.1세, 강원 61.4세, 전북 60.4세로 전망됐다. 즉 전남북·경북·강원 지역의 중위연령이 60세가 넘는다는 것이다. 2017년 대비 2047년 증감 폭이 가장 큰 지역은 경북(16.9세)이었다.
 
아울러 고령인구가 많은 이들 지역의 인구 피라미드는 역삼각형 구조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2025년에 전국적으로 1000만명을 돌파한 후 2047년엔 1879만명으로 200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부터 베이비부머가 고령인구에 편입되면서 급증하기 시작해 30년간 총 1172만명(165.9%)이 불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남(46.8%), 경북(45.4%), 강원(45.0%), 전북(43.9%), 경남(41.4%), 부산(41.0%), 충북(40.6%), 충남(40.0%) 등에서 40%를 넘을 것으로 예측됐다. 세종은 이 비율이 27.8%로 전체 시·도 중 가장 낮았지만 2017~2047년 고령인구 증가율은 572.1%(14만명)로 가장 높았다. 고령인구 증가율은 전남(95.9%)을 제외하면 모든 시·도에서 100%를 웃돌았다.
  
85세 이상 초고령인구는 2017년 60만명에서 2047년 366만명으로 306만명(6.3%p) 증가할 전망이다. 전국적으로 2017년 1.2% 수준이었던 초고령인구의 비중은 2047년엔 전남(9.5%)과 경북(9.5%), 강원(9.4%), 전북(9.2%) 등에서 1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들 지역에선 85세 이상 노인이 10명 중 1명꼴이 된다는 의미다.
     
이와 반대로 유소년 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감소해 30년 후 전남북·경북·강원 등에서는 전체 인구의 절반 이하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0~14세 유소년인구는 2016년 672만명에서 2047년 45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47년 유소년인구 비율은 세종(13.5%)과 제주(10.4%), 경기(10.2%), 광주(10.0%)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10%가 채 안 될 전망이다. 유소년인구의 감소율은 전남(-44.6%)과 울산(-43.7%), 경북(-42.3%), 전북(-42.0%), 부산(-42.0%), 대구(-41.7%), 경남(-41.2%), 광주(-40.9%) 등에서 두드러질 것으로 통계청은 예측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 3757만명에서 2047년 2562만명으로 1195만명(-20.8%p) 떨어질 전망이다. 세종(86.1%)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감소율은 부산(-45.6%)에서 가장 컸고 대구(-43.4%), 울산(-41.4%), 전북(-40.1%), 경북(-40.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 인구 중 생산연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국에서 2017년 기준 73.2%였지만 2047년엔 전남(45.3%), 경북(46.7%), 강원(47.1%), 전북(47.5%), 경남(49.7%) 등에서 절반에도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25~49세 주요 경제활동인구는 2017년 1950만명에서 2047년 1157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8.0%에서 23.6%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며 2044년부터는 모든 시·도에서 30%에 못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2047년엔 전남(18.2%), 강원(19.3%),경북(19.5%), 충남(19.8%) 등 지역에선 25~49세 인구가 전체의 1/5도 안 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입력 : 2019-06-27]   백두원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