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에 따르면, 먼저 고령자 복지주택 공급이 확대된다. 국토부는 2019~2022년 4년간 연평균 1000가구씩 4000가구를 공급한 뒤 2023년부터는 공급 물량을 기존보다 연 2000가구까지 2배 늘려 총 1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해당 공공주택은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의 50% 이하인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들을 위한 맞춤형 주택이다.
국토부는 “고령자 복지주택 외에도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신규로 건설되는 공공임대주택과 매입·전세임대주택을 활용한 고령자 주택도 2025년까지 7만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신규로 건설되는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문턱제거, 안전바 설치, 높낮이 조절 세면대 등 주거약자를 위한 특화 설계를 반영한다.
매입임대의 경우, 고령자에게 공급되는 주택은 신규 건설형 공공임대주택과 같은 특화설계가 반영되도록 맞춤형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서울·인천 등 총 12개 지역 700가구의 입주자를 모집한다.

아울러 요양병원 등에서 퇴원하는 노인 등을 대상으로 방문 건강관리·돌봄 등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어안심 서비스도 확대한다. 또 저소득 고령자가 거주하고 있는 주택에서 계속 머물 수 있도록 도배·장판, 싱크대, 냉·난방시설 등 노후시설 수선비를 지원하는 집수리 사업도 계속 추진된다. 올해는 노후 주택에서 거주 중인 저소득 고령가구 1만4000세대에 대해 집수리 사업을 진행될 예정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더욱 많은 분들이 따스한 노년을 보내실 수 있도록, 고령자 복지주택을 지속 확충해 나가겠다"면서 "기대수명 증가 등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여 주거와 돌봄을 동시에 제공하는 고령자 맞춤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