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문화
  2. 라이프

再취업 성공한 여성 10명 중 3명 “1년 이내 그만두겠다”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 ‘경단녀 재취업 만족도 조사 연구’ 발표...직장·직무 전망 없어서(16%), 근무조건·작업환경 나빠서(15.7%)

글  김명규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에 성공한 여성의 30.5%가 1년 이내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생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와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이 1월 31일 발표한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만족도 및 요인조사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력단절을 경험하고 재취업에 성공했지만 1년 이내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인 여성이 30.5%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를 그만두는 이유로는 ▲직장이나 직무가 전망이 없어(16%) ▲근무조건 또는 작업환경이 나빠서(15.7%) ▲이직(11.2%) ▲계약기간 만료(8.3%) ▲결혼·임신·출산(7.7%) 순으로 나타났다.
 
1년 이내에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이라고 답한 3명 중 1명(31.7%)은 '직장이나 직무가 전망이 없어서' '근무조건 또는 작업환경이 나빠서' 등 현재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가 아닌 것에 대한 불만 때문에 퇴사를 결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혼·임신·출산' '취학자녀교육' '미취학자녀육아' '가족돌봄'을 이유로 현재 일자리를 그만둘 계획이라고 답변한 비율은 20.2%로 조사됐다.
 
과거 주된 일자리에서 현재 일자리 시작까지 경력단절 기간은 평균 4.2년이었다. 구간별로는 '2년 미만'이 48.1%로 가장 많았고, ‘2~5년 미만’ 22.9%, ‘5~10년 미만’ 14.7%, 10년 이상 14.1%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일자리와 과거 주된 일자리가 밀접한 정도를 묻는 질문엔 60.9%가 밀접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39.1%는 밀접하지 않다고 답했다. 현재 일자리 입사 시 과거 일한 경력을 인정받은 비율은 48.1%로 인정받지 않은 비율(51.9%)이 더 높았다. 전체 응답자 중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경험은 16%(166명)로 이 중 50~54세, 고졸이하, 비혼자 집단이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경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취업 여성 10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대상자 중 기혼이 55.7%(565명), 미혼이 44.3%(450명)이다. 학력은 4년제 대학졸업이 53.9%(677명)로 가장 많고, 이어 전문대학 졸업, 대학원 졸업 순이다.
 

[입력 : 2020-02-01]   김명규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