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이 발표한 월간 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1.09%)은 전월 대비 상승폭이 줄었지만 상승을 이어갔다. 5개 광역시(0.41%)도 전월과 유사한 상승률을 보였다. 기타지방(0.37%)은 세종(6.44%)이 매우 높게 상승했고, 경남(0.28%), 전남(0.24%), 경북(0.16%), 충남(0.12%), 강원(0.09%), 충북(0.06%), 전북(0.04%)까지 모두 상승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0.93%)가 상승했으며 인천(0.44%)도 상승을 보였다. 서울(1.50%)은 지난달(1.45%) 보다 상승폭이 컸다.
서울 아파트는 2.05%로 지난달보다 상승세가 살짝 꺾였다. 연립주택이 0.88%, 단독주택 0.62% 또한 상승을 유지하면서 전체 주택은 1.50% 상승을 보였다. 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 광역시는 대구(0.71%)가 높게 상승하였고, 대전(0.52%), 부산(0.34%), 울산(0.32%)이 상승했고, 광주(0.04%)는 보합에 가까운 상승을 보였다.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50%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노원구(3.04%)와 은평구(2.23%), 송파구(2.21%), 도봉구(2.21%) 등이 높게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경기(0.93%)와 인천(0.44%)은 지난달보다는 상승폭이 둔화됐다. 안정화 방향대로 흐르는 모습이다. 경기지역은 수원 영통구(2.24%), 성남 분당구(2.09%), 구리(2.03%), 고양 덕양구(1.60%)가 높게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52%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전세부족이 더욱 깊어지고, 지방까지도 전세 부족을 보이면서 전국의 상승세가 높아졌다. 수도권(0.76%)도 전월 대비 상승폭 소폭 커졌다. 5개 광역시(0.27%)는 상승, 기타 지방(0.22%)도 상승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대전(0.47%), 대구(0.35%), 울산(0.23%), 광주(0.22%), 부산(0.15%)까지 모두 상승했다.
서울 전셋값(1.07%)은 임대차보호3법 시행 전부터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매매가격과 동반 오름세를 이어갔다. 송파구(2.79%), 성동구(2.15%), 은평구(2.09%), 중구(1.57%), 동작구(1.40%)는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경기도는 전월 대비 0.65%의 상승을 보였다. 수원 영통구(1.67%), 성남 분당구(1.61%), 광명(1.31%), 남양주(1.27%) 등이 상승한 반면, 파주(-0.08%)만 하락했다.
지난달 서울의 전세가격 전망지수가 기준점인 100을 훌쩍 넘는 140으로 지난달 132보다 더 높아지면서 전세가격이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가장 낮은 광주도 105를 기록하면서 모든 지역의 전망지수가 100을 상회, 임대차보호3법 이후에도 전세가격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좀더 많다.
전망지수의 기준인 110 이상 넘으면서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152)과 서울(140), 경기(133) 이다. 광역시 중에는 광주(105), 도지역에서는 전북(106)지역 전망지수가 가장 낮다.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4000여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지역의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 전망에 대한 조사를 해 0~200 범위의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100을 초과(미만)할수록 ‘상승(하락)’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KB 선도아파트 50지수가 전월 대비 2.28% 로 상승을 기록했다. 3개월전 상승으로 전환된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을 보였다. 7.10 대책 발표 즈음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가 차츰 상승세가 소폭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선도아파트 50지수는 전국 아파트단지 중에서 시가총액(세대수X 가격) 상위 50개 단지를 매년 선정하여 시가총액의 지수와 변동률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의 단지보다 가격변동에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전체 시장을 축소하여 선험적으로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