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이슈

개학...學習과 學, 習

“배우는 것만으로는 부족...반드시 익혀야 내 것 돼”

글  조문수 숭실대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40~50대 중에는 영어에 한 맺힌 사람이 많다. 그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전혀 못 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특히 영어 읽기나 문법에서는 꽤 우수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도 영어 말하기, 듣기, 쓰기 등은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다. 영어 읽기 능력이 어느 수준 이상이라는 말은 영어를 구사하는 데 필요한 도구인 단어를 꽤 많이 알고 있다는 뜻이다. 문제는 그 알고 있는 단어들을 말하려고 하는데도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상당수 한국인이 외국인과 대화해본 소감을 말하라고 하면 “외국인이 쓰는 단어들은 나도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인데, 내 입으로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즉, ‘알고 있으나 사용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왜 그럴까? 여기에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나는 우리의 학습방법을 되돌아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습(學習)이라고 하면 흔히 ‘공부’를 떠올린다. 영어로는 ‘스터디(study)’라고 답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학습은 학(學)과 습(習)이란 두 단어가 모여서 된 단어다. 영어로는 ‘러닝(learning)’과 ‘엑서사이즈(exercise)’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학습은 학문을 갈고닦는다는 의미도 있지만, 좀 더 쉽게 풀면 ‘배우고 익히는 것’이다. 배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반드시 익혀야 내 것이 되며, 그래야 내가 원할 때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영어에 적용해보자. 과거 한국인은 영어 수업시간에 단어의 뜻을 배우기는 했을 뿐 익힐 시간은 매우 부족했다. 영어를 배우는 것을 영어 공부의 전부라고 생각했을 뿐, ‘익히는 데’는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았다. 배워서 알고는 있으나 익히지 않았으니 내 것이 되지 않았고, 막상 필요할 때 쓸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이는 영어 공부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며,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이 해당한다. 탁구를 잘 하려면 ‘배운’ 다음, 반드시 ‘익히는’ 훈련을 해야 한다. 탁구 이론을 아무리 많이 배워도, 땀 흘려 연습하지 않고서는 좋은 선수가 될 수 없다.
 
총과 총알의 기계적 구조와 탄도학에 관해 고도의 전문교육을 받아도 피나는 사격연습을 하지 않으면 명사수가 될 수 없는 것도 같은 이치다. 이는 오래전부터 전해 오는 삶의 지혜다.
 
『논어』에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불역열호(不亦說乎)’라는 말이 있다. ‘배우고 때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라는 이 구절을 보면, ‘학습’이 아니라 ‘학’과 ‘습’으로 나눠 표현하고 있다. 학(學)을 통해 아는 데서 그치지 말고, 끊임없는 ‘습(習)’을 통해 몸에 익숙하게 해 진정한 내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진정한 배움이다. 그것이 쌓인 것이 실력이다.
 
 
 
 

 

[입력 : 2019-03-09]   조문수 숭실대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