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빛은 인류가 신화와 이야기를 지어내도록 해주었을 뿐 아니라 기술적 능력을 발휘하고, 철학적 사고를 하도록 자극을 주었다.> <이제, 별을 생각할 시간, 별에서 온 우리는 별로 돌아갈 것이다. 그러므로 별을 생각하는 시간은 인류와 우주의 역사와 미래를 생각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계산대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집에 돌아와 열심히 읽었다. 책 속으로 들어가 본다.
가깝고도 먼 태양(太陽), 그리고 북극성
저자는 책에서 ‘태양이 별’이라고 했다. 다만, 우리에게 너무 가까이 있기에 다른 별처럼 여기지 않을 뿐이란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태양이다. 그렇다. 태양이 진짜 별인데, 별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 별은 해가 진 다음에 보이기 시작하는 밤하늘의 빛의 점들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모두가 자신만의 상식에 갇혀 버리기 때문이 아닐까? 필자 역시 태양을 '별'이라고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북극성 이야기도 반전이다. 우리의 상식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북극성이 가장 밝은 별이라는 소리가 여전히 들려오지만, 사실 북극성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 아니다. 북극성은 47번째 밝기의 별에 불과하다. 북극성은 밝기 보다는 그 위치에 연유한다...>
별의 이름...별이라 불리는 행성
<아크룩스(Acrux), 베크룩스(Becrux), 가크룩스(Gacrux), 데크룩스(Decrux)는 천문학 용어들이다. 아크룩스 일당은 바로 남십자자리(남십자성) 별들의 공식 명칭이다...작긴 하지만 뚜렷하고 밝아서 브라질,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사모아의 국기에 그려져 있다.>
‘참으로 신기하다. 나라의 국기에도 이러한 사연이 있다니...’
<샛별, 새벽별, 저녁별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 천체는 사실 별이 아니다. 샛별은 해가 뜨기 직전 내지는, 해가 진후에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금성이다...금성은 지구의 공전궤도 안쪽에서 태양을 공전한다.>
<사람들은 ‘별똥별’을 보면서 소원을 빈다.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그래도 빌어서 나쁠 것은 없으니까.>
왜 저자가 이토록 시큰둥하게 ‘별똥별’에 대해서 언급했을까? 필자는 다음의 글에서 해답을 찾았다.
<유성(流星)은 별과는 상관이 없는 작은 돌멩이로, 태양계 행성들 사이에 있는 우주먼지다. 지구가 그런 알갱이들과 만나면 ‘별똥별’을 볼 수 있다...어떤 밤에는 ‘별똥별’이 비 오듯 쏟아지는데, 이것은 지구가 먼지 가득한 곳을 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럴듯한 분석이다. 단지, 사람들이 그 실체를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에 자기 방식으로 판단하는 것이리라.
의미심장한 저자의 결론이다.
<지난 몇 십년간의 기후학이 규명한 바를 함께 고려하면,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인간들의 책임이 크다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다른 별에 기후 변화의 책임을 전가(轉嫁)하지 말고, 우리 스스로 기후를 보호하고자 노력해야 해야 할 것이다.>
올바른 지적이다. 어쩌면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19도 인간의 책임일 듯싶다. 순수한 별들을 병들게 했으니 말이다.
알퐁스 도데(Alphonse Daudet, 1840-1897)의 소설 ‘별’에서 답을 찾아야
“이렇게나 별이 많다니! 정말 아름다워! 이렇게 많은 별들은 처음이야. 넌, 저 별들의 이름을 알고 있겠지?"
“물론이죠, 아가씨! 우리 머리 위에 있는 것은 ‘성 야곱의 길(은하수)’입니다....조금 더 아래쪽에 있는 것은 ‘세 명의 왕(오리온자리)’입니다. 저 별이 우리 목동들에게 시계 역할을 해줍니다."
목동이 열심히 설명하는 동안, 숲 속에서 길 잃은 아가씨는 목동의 어깨에 기대어 잠이 들고 말았다. 목동은 별들을 바라보면서 가슴으로 말했다.
‘저 수많은 별들 중에서 가장 가냘프고 빛나는 별 하나가 길을 잃고서, 내 어깨에 내려앉아 곤히 잠 들었구나...’
[입력 : 2021-01-19]
장상인 JSI 파트너스 대표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상인 JSI 파트너스 대표
30년 넘게 현해탄을 넘나들며 일본인들과 교류하고 있는 홍보컨설팅회사 JSI파트너스의 대표다. 일본비즈니스 전문가로도 정평이 나있다. 동국대를 졸업하고 육군 제2훈련소 교관(ROTC11기)으로 군(軍) 복무했다. 직장생활의 대부분을 대우에서 보냈다. 대우건설 재직시절 철옹성 일본 건설시장의 문을 열었다. 대우건설 문화홍보실장(상무)에 이어 팬택계열 기획홍보실장(전무)을 역임했다. 2008년부터 지금의 JSI 파트너스 대표이사로 있다. 일본의 정계·관계·업계·언론계 등 두터운 인맥을 갖고 있다. 한편 비즈니스를 하면서도 칼럼니스트로 여러 매체에 일본 관련 글을 쓰고 있다. 특히 일본 구석구석을 찾아다니면서 현장을 직접 보고 글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