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인구변동
  2. 고령화

노년에 삶이 행복해지려면...“늙어서도 일하고 주변 친구 만나야”

통계청 ‘통계플러스 가을호’...돈 버는 고령여성, 삶 만족도 가장 낮아

글  김성훈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나이 들어 일을 하면서 친구를 만나면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9월 30일 내놓은 'KOSTAT 통계 플러스 2019년 가을호'에 따르면, 박시내 통계개발원(SRI) 경제사회통계연구실 사무관은 '고령화와 노년의 경제·사회 활동 참여'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경제 활동과 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고령층(65세 이상)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소득과 소비, 사회적 관계망, 계층 의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7년 기준 고령층 고용률은 30.6%(남성 40.2%·여성 23.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평균치인 14.4%(남성 19.7%·여성 10.3%)의 두 배 수준이다. 이중 고령층의 삶 만족도는 경제·사회활동인구가 29.3%로 가장 높다. 사회활동인구 22.2%, 경제활동인구 14.8%, 비활동인구 14.7% 순이다. 성별로는 남성 경제·사회활동인구가 31.6%로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여성 경제활동인구는 11.1%로 가장 낮다.
 
박시내 연구원은 "경제 및 사회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고령층은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취약하며 소득 수준이 낮고 노후 준비가 미비하다"고 했다. 실제로 경제·사회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고령자일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잘 형성돼있다. 경제·사회 활동에 모두 참여하는 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은 5.5명, 그 어떤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는 비활동인구 남성은 3.9명이다.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고령층은 본인이나 배우자의 근로소득으로 생활비를 충당하는 반면 비활동인구는 이전소득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다. 경제·사회활동인구의 생활비 마련 방법 중 '본인 및 배우자'를 꼽은 응답자는 전체의 94.2%다. 반면 비활동인구는 이 비율이 43.0%에 불과했다. 자녀 및 친척 지원이 38.9%, 정부 및 단체 지원이 20.1%다.
 
 
 

 

[입력 : 2019-10-01]   김성훈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