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올해까지 연평균 30만명대 수준으로 증가해왔는데 2020년에는 44만명, 2021년 41만2000명, 2022년 43만8000명, 2023년 47만2000명 등으로 증가 폭이 확대된다.
앞서 국회 예산정책처는 복지분야 의무지출 규모와 관련해 '2019∼2050년 장기재정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107조원에서 2030년 185조3000억원, 2040년 262조7000억원, 2050년에는 347조7000억원으로 연평균 3.9%씩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GDP 규모와 비교할 때 올해 5.7%에서 2050년에는 10.4%로 늘어난다. 증가속도는 총지출의 연평균 증가율(2.5%), 의무지출의 연평균 증가율(3.1%)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 또한 인구고령화 비중이 급속히 늘어나기 때문이다.
복지분야 의무지출이 급증하는 배경으로는 첫째 국민연금의 연금수급자 수 증가로 연금급여액(올해 23조원→2050년 160조원·연평균 6.4%) 급증, 둘째 건강보험·노인장기요양보험 등의 보장성 강화와 고령화로 인한 급여비 증가(올해 24조원→ 2050년 60조원), 셋째 노인인구 증가의 영향으로 기초연금과 기초생활보장(올해 30조→2050년 57조) 증가 등이 꼽힌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통합재정수지와 관련해 올해는 7조6000억원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내년에는 6조6000억원 적자로 전환한 뒤 2050년에는 237조4000억원(GDP대비 ?7.1%) 적자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해가 거듭할수록 적자폭이 증가하는 것이다. 국가채무는 2050년 GDP 대비 85.6%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다. 2017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앞서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전체 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는 ‘고령화사회’에 들어섰다. 고령인구 20%를 넘을 때는 ‘초고령사회’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2025년경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우리보다 20여년 앞서 고령화가 진행 중인 일본의 복지분야 의무지출 규모는 더욱 큰 것으로 추산된다. 일본은 1970년 고령화 사회에 1994년 고령사회에, 200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간한 올해 일본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고령인구 관련 사회복지지출은 내년 GDP 대비 18.9%에서 2050년 21.7%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그동안 GDP 대비 200%가 넘는 부채에도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정부부채 대부분을 일본인들의 예금을 원천으로 한 일본 국내 금융기관이 매입했기 때문"이라며 "일본 가계의 순금융자산은 일본 GDP의 250%를 뛰어넘는 규모지만 한국은 GDP의 100%를 겨우 넘는 정도여서 정부부채가 GDP대비 70%만 돼도 안전성에 빨간불이 켜질 것인 만큼 효율적으로 정부예산을 집행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