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문화

크리에이터 月평균 소득 536만원

노동연구원, 250명 무작위 추출 설문조사·심층면접 진행...주업 24.0% 부업 23.2% 취미 52.4%, 생활>리뷰>뷰티>엔터>먹방>게임順 “한달 소득 5000만원 있지만 달랑 5만원 경우도”

글  백두원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고성능 스마트폰이 일반화되고 5G로 대표되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급속도로 향상되면서 영상미디어 시장이 크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1인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된 시장 또한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1인 크리에이티브의 세계에 뛰어드는 사람도 심심찮게 나타날 정도로 최근 폭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의 콘텐츠를 만들어 여러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데다 부가적으로 수익까지 올릴 수 있어서다.
 
실제로 1인 크리에이터들은 수익 측면이나 일에 대한 만족도가 직장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크리에이터 간 편차가 큰 데다 직업 안정성이 낮고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위험요소들을 안고 있어 정책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승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용관 부연구위원·이상규 연구원은 8월 7일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시장 현황과 실태, 노동환경에 대해 집중 분석한 '미래의 직업 프리랜서' 보고서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지난해 10~11월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등록된 한국MCN 협회 회원 250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방식으로 소득·만족도 등을 살폈다. 이번 조사는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산업에 대한 실질적인 국내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조사 결과 크리에이터를 주업으로 하는 비율은 24.0%(60명), 부업으로 하는 비율은 23.2%(58명), 취미로 하는 비율은 52.4%(130명)로 나타났다. 주업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월평균 소득은 536만원으로 조사됐다. 부업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소득은 333만원, 취미로 하는 크리에이터 소득은 114만원으로 집계됐다.
 
최대 5000만원을 버는 크리에이터가 있는가 하면 주업인 경우에도 5만원 밖에 벌지 못하는 크리에이터가 있어 크리에이터 간 소득 편차가 크다고 연구진은 부연 설명했다. 주업으로 하는 크리에이터의 경우 크리에이터 활동 직전 소득이 월평균 295만원으로 조사돼 크리에이터를 하면서 얻는 소득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크리에이터에 도전했다가 실패해 도태됐거나 소득이 없는 사람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이번 월평균 소득 조사 수치를 크리에이터 평균치로 추정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크리에이터 소득 경로(주업 크리에이터 기준)의 경우 광고가 43.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후원(24.2%), 홍보·판매(20.7%), 임금(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같은 동영상 플랫폼의 경우 이용자들에게 직접 대가를 받는 것이 아니라 인비디오(in-video), 인스트림(in-stream), 배너(banner), 트루뷰(TrueView) 등 다양한 유형의 광고를 통해 수익을 올리고 광고 시청시간, 클릭 수 등을 종합해 발생한 수익을 크리에이터 측과 배분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아프리카TV와 같은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시청자와 이용자의 기부나 후원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이 형성됐다. 예컨대 시청자들이 아프리카TV 플랫폼에서 별풍선, 스티커 등의 아이템을 구매해 크리에이터에게 기부하는 형태로 선물하면 그것을 받은 크리에이터가 일정한 비율로 수수료를 제외하고 아프리카TV 측을 통해 환전하는 형태로 수입을 올리는 구조다.
 
크리에이터 기획사를 뜻하는 MCN(Multi Channel Network·다중 채널 네트워크) 산업도 커지고 있다. 국내 유튜브 인기 콘텐츠 1000개 중 413개가 MCN 기반 콘텐츠로 알려졌다. 국내에는 600명 이상의 크리에이터를 보유한 CJ E&M의 다이아TV와 150명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트레져헌터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주요 포털 업체들도 네이버TV, 카카오TV 등의 형태로 MCN 사업에 뛰어든 상태다.
 
크리에이터들의 업로드 영상 제작시간은 평균 35.9시간이었다. 1일을 9시간(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으로 계산한다면 4일이 걸리는 셈이다. 한편당 제작비용은 1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76.3%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10~29만원 13.1%, 30~49만원 3.3%, 50~99만원 4.5%, 100만원 이상 2.9% 등으로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으로는 유튜브 58.7%(135명), 네이버 19.4%(47명), 인스타그램 10.3%(24명), 아프리카TV 4.5%(11명) 등으로 집계됐다.

 

콘텐츠 활동 장르(중복 응답)로는 생활·여행이 37.1%로 가장 많았고, 리뷰·리액션 25.0%, 뷰티·패션 22.2%, 엔터테인먼트 18.5%, 먹방(먹는방송) 16.9%, 게임 14.1%, 교육 14.1%, 음악 13.3%, 키즈 12.9%, 지식·정보 12.1%, 퍼포먼스 3.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크레에이터들의 활동 경력은 평균 2.8년이었으며, 향후 희망 활동 연수는 14.0년으로 나타났다. 평균 17년 정도의 활동을 예상하고 있는 셈이다. 크리에이터들의 4대 보험 가입률을 살표보면 국민연금 가입률(67.5%)과 건강보험 가입률(89.8%)은 비교적 높았으나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미가입률이 각각 42.0%, 46.0%로 높게 나타났다. 
 
크리에이터들은 주로 자신을 예술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10점(전적으로 동의한다) 척도를 사용해 각 응답지에 동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예술인이 6.6점, 노동자 5.6점, 사업가(자영업자) 5.8점으로 나타났다.
 
크리에이터는 일반인보다는 크리에이터로서 행복감을 더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에이터로써 일종의 자부심인 셈이다. 일반인으로서 느끼는 행복감의 정도가 평균 6.3점인데 비해 크리에이터로서 느끼는 행복의 정도는 6.7점으로 나타났다.
 
1인 미디어 콘텐츠 분야 활동 동기를 조사(중복 응답)한 결과 '재미·취미로 활동을 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52.6%로 가장 높았으며, '1인 콘텐츠 열정 때문에' 41.4%, '일하는 것이 자유로워서' 38.2%, '향후 유망한 분야로 판단돼서' 34.1% 등으로 조사됐다.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2~2점 척도)를 세부 항목별로 조사한 결과 '일하는 과정을 통해 배우는 정도'에 대한 만족도가 1.59점으로 가장 높았고, 해당 분야 발전 가능성(0.67점), 기술·능력 활용 정도(0.54점), 개인 발전 가능성(0.54점), 일하는 환경(0.43점) 등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입·보상 정도(0.16점), 직업 안정성(-0.07점) 등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우리 정부는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역량 강화 프로그램과 사업화를 위한 제작 자금 지원 형태가 주를 이룬다.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이미 활동 중인 크리에이터들에 대한 심화 과정이 부족하고,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은 크리에이터가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도와주는 사업들에 국한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승렬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새로운 미디어 산업의 성장 확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에 대한 지원 규모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원 대상과 방식을 활동 장르별·단계별로 다양화하는 게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선 이들의 활동, 일하는 방식, 환경, 정책 수요 등을 파악한 다음 대상들의 특성을 고려 한 신규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크리에이터가 직업으로서 명확한 위치를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사회안망을 통한 보호를 고민해야 한다"고도 했다.

 

[입력 : 2019-08-07]   백두원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