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인물
  2. 인물

②“골반이 쩍 벌어지고 동글동글해야 애 잘 낳아요”

20년간 4만여 아기 받은 홍영재 원장의 분만학

글  이은영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글 : 이승주 기자
● 애 잘 낳는 여자, 궁뎅이만 봐도 알 수 있어
● 옛날 여성들 볏짚 깔고 애 낳았던 이유
● 수술할 땐 가족이 죽었다고 해도 집중해야 해
● 최고의 다산상은 고현정, 김혜수, 북한 리설주
● 산부인과에 남자의사가 더 많아야 
● 출산장려금 마련 위해 담배값 인상했으면

홍영재(洪榮載) : 본관 남양. 1943년 전북 고창 출생. 연세대 의대 졸업. 차병원 산부인과 과장, 건대부속 민중병원 산부인과 과장. 홍영재산부인과 개원(1981). 現 산타홍클리닉 원장. 연세대 의대 총동창회장. 저서로는 <나는 아기에요> <임신과 출산> <아기의 첫 365일> <타이밍임신법> <아기는 총명하게 키워라> <암을 넘어 100세까지> <청국장 100세 건강법> <홍영재의 젊은생각> <오색섭생> 등이 있다.

   
 홍영재 원장이 꼽는 최고의 다산상은 고현정, 김혜수, 리설주
 

다산상 여성의 궁뎅이만 봐도 안다


▶ 분만시 난산(難産)이라도 있으면 녹초가 되셨겠어요.
“키 크고 체격 좋은 여자들이 애 쑥쑥 잘 낳을 것 같지요? 그것도 아니더라고요. 배구선수들 예로 들어볼까요. (배구선수들이) 히프가 크고, 스파이킹((spiking) 잘 하니까 아기를 쑥쑥 잘 낳을 것 같죠? 내가 만난 운동선수들은 대부분 수술로 낳았어요. 그렇게 운동을 많이 하면 애를 잘 낳아야 하는데, 힘든 난산이 많았어요. 견디다 배 열고 꺼내는 거죠.”


▶ 40년 가까이 아기를 받아본 의사로서 난산을 예측할 수 있나요?
“산부인과 의사라면 손 감각이 좋아야 해요. 골반이 삼각형인가, 라운드인가를 내진하면 금방 알 수 있어야 하거든요. 경험이 많은 의사들은 엑스레이 찍는 것보다 내진이 더 정확해요. 아기가 자궁에서 돌고 나와야 하니까, (산부인과 의사가) 속 골반, 중간 골반, 바깥 골반을 손으로 체크하면서 대충 짐작할 수 있는 거죠. 삼각형 골반이면 애 낳기 힘들어요. 동글동글한 골반이 최고죠. 그래서 나는 여자 궁뎅이만 봐도 딱 알아요. 한복 입고 있어도 자태보면 느낌이 와요. (웃음)”


▶ 분만에는 변수가 많지요? 제왕절개라는 히든카드가 있긴 해도 의사 입장에서 순간적으로 판단을 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산과 의사는 정말 힘든 외과의사입니다. 조선시대에는 동네에서 산파 불러서 애 낳았는데, 산부인과 의사들이 왜 힘들지?라고 말하겠지만, 그렇지 않아요. 조선시대에는 애 낳다가 많이 죽었어요. 산모가 왜 애 낳으러 방에 들어가면서 고무신을 거꾸로 놓는지 아세요? 고무신 코를 밖으로 향하게 놓아야 ‘살아서 나온다"는 속설을 믿고 싶고 또 살아나오고 싶다는 의지였던 거예요.”


▶ 분만에서 난산은 어떨 경우를 말하는 건가요?
“케이스가 많고 많죠. 머리는 나왔는데, 어깨가 빠지지 않아도 난산일 수 있어요. 애는 아직 나올 생각을 안 하는데 산모가 탈진을 해버려도 난산이고요. 가장 일반적인 난산이 분만 길이 좁을 때랍니다. 산도는 애가 나오는 길인데, 골반 뼈가 약간 튀어나와 있으면 힘들어져요. 애가 나오다가 골반에 박히면 빨리 배 열고 끄집어 올려야 하는데, 애가 골반에 끼여서 안 올라오는 것도 난산이죠. 또 머리가 먼저 나와야 하는데 다리부터 나오는 역산일 때도 난산이 될 수 있어요.”


▶ 골반이 작으면 난산이 될 수 있나요?
“엄마 뱃속의 아기 몸은 가장 편한 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어요. 머리가 제일 크고 무겁잖아요. 중력에 의해서 밑으로 향해요. 양수에 붕 떠 있다가 밑으로 내려오는 거죠. 그런데 골반이 작고 역삼각형이면 편한 위치로 아기가 돌아가 버려요. 궁뎅이가 밑으로 향해 버리는 거예요. 그렇게 되면 역산이 되어서 발부터 빠지는 거죠. 옛날이면 골치 아픈 난산이 되는 거에요. 요즘에야 바로 배 열고 머리를 끄집어내면 쉬워요. 단, 문제가 있어요. 발이 빠지면, 뭐가 빠지겠어요? 탯줄이 빠진단 말이야. 아기 배꼽 사이에 궁둥이가 있으니까 탯줄부터 내려올 수 있어요. 그러면 탯줄이 그냥 닫혀져 버릴 수 있어요.”


▶ 난산 케이스가 산모 100명 중 몇 명 정도나 되던가요?
“경험상 10% 정도 되는 것 같아요.”

▶ 빨리 배 열어서 아기를 꺼낼 수 있지 않나요?
“그렇죠. 산부인과 의사는 빨리 판단해야 해요. 배 열면 복막이 있고, 복막 열면 바로 자궁이 나와요. 5분 안에 반드시 열어야 해요. 초스피드로 열어야지 만일에 늦었다? 태아가 죽어요. 그래서 산부인과 의사는 손재주도 좋아야 한다는 거예요. 의사들 중 공부는 잘 하는데 손이 느린 경우가 의외로 많아요. 내 자랑 같지만 레지던트 때에도 손 빠르다고 소문나 수술장에 항상 끌려들어갔어요. 제왕절개 수술을 한 시간씩 하는 의사가 있던데, 저는 20분이면 닫고 마무리해요.”

 

▶ 분만 의사로써 지난 40년간 ‘내가 겪은 최고의 난산(難産)’은 어떤 케이스였나요?
“레지던트 3년차 때였으니까 1970년대라고 기억합니다. 전북 변산해수욕장 근처에서 무의촌 진료를 할 때였어요. 당시 그곳에는 산부인과가 없었고 산파 할머니들만 있었어요. 어떤 집에서 애를 낳을지 몰라 애기 받을 수 있는 세팅을 해놓고 있다가 연락이 오면 자전거를 타고 애 낳는 집으로 가는 거예요. 그날도 연락을 받고 갔어요. 산모 집에 가보니 호롱불이 켜져 있고, 코딱지만한 방에 이불 덮고 끙끙 앓고 있는 산모 밑에 볏짚이 깔려 있더라고요. 애 잘 낳으라고 볏짚을 깔아놓은 거죠. 볏짚에 산모의 궁둥이가 찔려 얼마나 아프겠어요?”


▶ 왜 볏짚을?
“두 가지 이유가 있다네요. 첫째, 애기를 낳을 때 힘을 받아라. 두 번째, 태어난 아이가 부자로 살라였어요.”


▶ 그 산모가 난산이었나요?
“8시간째 진통을 하고 있더라고요. 내진을 해보니 도저히 낳을 수 없겠다 싶었어요. 골반이 너무 작았어요. 자궁문은 100% 열렸는데 애가 안 내려오는 거예요. 그 케이스는 제왕절개 수술을 해야 할 상황인 거죠.”


▶ 당시 레지던트 의사로 당황했겠어요.
“산모 다리 밑에서 무릎 꿇고 빌었어요. 제발 힘 좀 주라고. 새벽 1시쯤 집에 도착했는데 새벽 5시가 되어도 온 몸에 땀만 범벅이지 도통 낳질 못하는 겁니다. (결국) 분만 촉진제를 다량 투입했죠. 정말 하늘이 도운 것인지 애기가 조금씩 내려오더라고요. 아! 그제야 애 머리가 말랑말랑하게 잡혔어요.”


▶ 아기는 건강하던가요. 진통이 너무 길어서.
“태어난 애가 다 죽어가는 거예요. 난 100% 죽을 줄 알았어요. 바로 심장 마사지를 시작 했죠. 한 20분쯤 하니까 비로소 애가 울음을 터뜨리는 거예요. 그제야 정신을 차리고 산모 자궁 밑을 꿰맸어요. 아기 나오라고 밑을 쨀 때까지 다 쨌으니까… 호롱불 밑에서 했으니 제대로 보였겠어요? (한숨)”

 

▶ 긴장감이 풀려서 쓰러지셨을 것 같아요.
“목이 바짝 타더라고요. 방문 밖으로 나가니 남편이 감사하다며 ‘물 한 잔 드세요’ 하는 거예요. 두레박으로 퍼 올린 우물물을 하얀 사기그릇에 한 사발 갖다 주대요. 냉면 그릇보다 더 큰 사발을 두 손으로 들고선 꿀꺽꿀꺽 다 마시고는 ‘조금만 더 주십시오’라고 했다니까요. 두 사발을 단숨에 마신 거죠. 내 평생 가장 맛있게 먹었던 물 한 사발, 아니 두 사발이었어요. 그렇게 맛있었던 물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어요.”

▶ 아기를 4만 명 이상 받다 보면 대충 아이를 잘 낳는 관상이 그려질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유형을 말하기 곤란하다면 여배우 중에서라도 지목해 주셨으면.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고현정과 김혜수… (웃음) 김혜수는 아직 미혼이지만 실은 그 어머니가 내 환자였거든요. 제가 차경섭(現 차병원 이사장/現 차광렬 회장 부친)과 병원을 할 때였어요. 김혜수 모친이 애를 쑥쑥 그리 잘 낳았어요. 북한의 김정은 부인인 리설주도 다산상이라고 봐집니다. 고현정도 두 아이밖에 안 낳았지만 쑥쑥 잘 들어서고 잘 낳을 타입이고요. 대체로  키 크고 대나무처럼 삐쩍 마르면 애를 잘 못 낳아요. 펑퍼짐하고 골반이 쩍 벌어져야 애를 잘 낳죠.”

▶ 아들 잘 낳는 여성의 유형이 있냐고 질문하면 억지겠지요?
“억지까지라고 할 순 없어도, 조금 영향이 있는 것 같아요. 비쩍 마르고 적극적인 여성이 아들을 잘 낳고, 통통하게 살집이 있고 여성스러우면 딸을 잘 낳더라고요.”


<3편에서 계속>

[입력 : 2014-06-30]   이은영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