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7월 4일부터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요한 소재·부품 3가지에 대해 수출 규제를 걸었다. 일본 기업이 바로 수출 허가를 신청했어도 심사 절차에는 3개월이 걸린다. 우리 기업들이 쌓아둔 소재·부품 재고가 동나면 생산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1~2개월 뒤면 재고가 바닥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생산 차질까지 2개월 남짓 남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정부의 대응은 긴박해 보이지 않는다.
얼마 전 '일본 수출통제 관련 관계기관 회의'를 주재한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회의를 마치고 기자와 만났다. 그는 일본이 양자협의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대비책을 묻는 질문에 "말을 아끼는 게 나을 것 같다"고 답했다.
같은 날 홍남기 부총리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기업인 간담회를 끝내고 별다른 발언 없이 행사장을 빠져나갔다. 애초 기자들과의 백브리핑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 자리였다. 이날 오전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일본에 상응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강하게 말한 것과는 상반되는 행동이다.
주무 부처인 산업부는 대응책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와 소재·부품 국산화를 내놓은 이후 이렇다 할 움직임은 없다. 이 두 가지 대응책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안덕근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과 일본은 깊은 산업 협력관계에 묶여있다"며 "양국 간 협의를 시작하지 않으면 상처만 남게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대책을 찾아야 한다. 보복을 보복으로 맞대응하는 '강대강'으로 가면 상황은 더 나빠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이다.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하반기 경제 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견해가 나오는 이유다. 안동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의 조치는 우리 경제 성장률에 당연히 영향을 줄 것"이라며 "다만 수출을 금지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문제를 풀어나갈 여지는 남아있다"고 조언했다.
이런 가운데 이낙연 국무총리는 6일 관계부처 장관들을 소집해 일본의 수출규제와 북한 목선사태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정부 대책을 점검했다. 이 총리는 관계 장관들과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국내 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부 대응조치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