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이슈
  2. 산업·IT

직장인 77.4% “일하는 노후 위해 정년 前 이직”

직장인 54.7% “현재 직장에서 법정 정년(만60세)까지 일하기 어려워”, 예상 정년 나이 만55세

글  김명규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소득이 낮아지더라도 노후에 계속 일할 수 있는 직장으로의 이직’을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532명을 대상으로 '노후 일자리 계획'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직장인들에게 ‘정년퇴직 이후, 즉 노후에도 직장생활을 계속 하고 싶은지’ 물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중 약7명에 이르는 67.3%가 ‘그렇다’고 답했다. 현재 직장에서 정년 이후에도 일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물었다. 조사결과 ‘정년까지 일하기도 어렵다’는 직장인이 54.7%로 절반 이상으로 많았다. ‘정년까지는 일할 수 있을 것’이라는 답변은 37.6%로 상대적으로 적었고, ‘정년 이후에도 원한다면 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자는 7.7%로 극소수에 그쳤다.
 
예상 직장생활 최대 가능 나이에 대해 물어본 결과 직장인들은 “평균 55세까지 직장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답했다. 법정 정년(60세)을 5년여 밑도는 수준이다. 직장인 중 상당수는 법정 정년 전에 소득이 낮아지더라도 노후까지 계속 일할 수 있는 직장으로의 이직을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전에 노후까지 계속 일할 수 있는 직장으로 이직할 생각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중 8명에 이르는 77.3%가 ‘있다’고 답했다.
 
직장인들은 노후까지 계속 일할 수 있는 직장으로의 이직은 40대에 준비해야 한다고 답했다. 노후에도 계속 일할 수 있는 일자리는 언제 준비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하 물어본 결과, ‘40대 후반(45~49세)’을 꼽은 직장인이 2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초반(40~44세)’이 적절하다는 응답자가 23.6%로 근소한 차이로 많았다. 반면 ‘노후 일자리는 정년퇴직 후에 찾는 것이 낫다’는 직장인도 18.0%로 적지 않았다.
 
변지성 잡코리아 팀장은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후 일자리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이 높아져, 노후 일자리 구상을 일찍부터 시작하는 직장인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입력 : 2019-08-07]   김명규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