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우리나라에서는 폭염과 열대야가 동반되는데, 이는 높은 습도 때문이다. 습기는 열을 가두는 성질이 있어 한낮의 더위가 밤이 되어서도 식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열대야 현상의 기준인 일일 최저온도 25도는 통상적인 냉방 기준온도인 26~28도 보다도 낮다. 이 온도에서 잠 못 이룰 정도로 괴롭다는 것은 온도 보다는 습도가 주된 원인이라는 반증이다. 습도가 높으면 땀이 증발하지 않아 덥고 끈적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열대야인 날에 제습을 통해 습도만 낮추어도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제습기와 에어컨의 제습 모드는 모두 차가운 표면에 이슬이 맺혀서 습기가 제거되는 같은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국가 인정 시험기관에서 시행한 인증시험에서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전기제습기 대비해 동일 소비전력에서 160% 향상된 제습 능력을 보였으며, 현장시험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받았다. 습기 필터는 내부적으로 재생돼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전기제습기의 소비자 불만 사항인 실내 온도상승 및 소음문제를 완전히 해결했다.
습기 필터에 적용한 자체 개발 고분자 제습 소재는 실리카겔보다 제습 성능이 5배 이상 높아 탈취, 항균, 항곰팡이 성능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휴미컨은 제습 기능뿐만 아니라, 환기·공기청정 기능도 갖춰 일 년 내내 활용할 수 있다.
개발자인 이대영 박사는 휴미컨의 사업화를 위해 직접 벤처기업 휴마스터를 창업해 작년 말 제품개발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상용 보급을 시작하고 있다. 이 박사는 "고효율 제습기술로 열대야도 없고 전력 대란이나 전력요금 걱정도 없는 여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기술은 특히 열대 및 온난다습한 기후에 적합한 기술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북중남미 등 세계 대부분 지역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휴미컨은 2017년 산업통상자원부 신기술(NET) 인증을 받았다. 고분자 제습 소재는 환경부 녹색기술인증을 취득했고, 2018년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