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Moody's)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a2'로 유지했다.
'Aa2'는 무디스에서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한국은 지난 2015년 12월 처음으로 'Aa2' 등급을 받았고, 현재까지 같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무디스는 보고서상 4가지 카테고리 중 한국의 경제적 강점과 제도적 강점, 재정적 강점을 모두 '매우 높음'으로 평가했다.
대외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경제·재정적 강점은 건재하다는 평가다. 대외무역 전망이 불확실하지만 경제·재정상 펀더멘털(fundamental)이 매우 견고해 완충력(buffer)을 제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정부 재정이 건전해 경기 대응을 위한 정책 여력도 제공하고 있다고 무디스는 판단했다. 제도적 틀이 매우 강력해 잠재적 경제·금융 안정 위험으로부터의 복원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무디스는 보도자료에서 "무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대외수요가 줄어 단기적으로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는 유사 신용등급 국가들과 비교 시 매우 다각화돼 있고 경쟁력이 높다"고 밝혔다.
보고서 원문에는 최근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우려도 정치적 위험 요소로 짤막하게 언급됐다. 강제 징용 배상 판결을 둘러싼 분쟁으로 일본이 한국을 상대로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를 강화한 것을 두고 "(한국의) 경제 성장 둔화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무디스는 적었다.
무디스의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들을 위한 연례 업데이트의 성격이며 신용등급을 최종 결정(rating action)한 것은 아니다. 무디스 외 3대 국제신평사 중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매긴 등급은 'AA'로 무디스와 같은 수준이다. 피치(Fitch)의 등급은 'AA-'로 가장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