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이슈
  2. 경제·글로벌

한국 신용등급 '안정적' 평가한 무디스, “빠른 인구 고령화에 따른 경제·재정 비용 장기적 과제”

2015년 12월부터 4년간 동급 유지...“경제·재정 펀더멘털 견고, 신용등급 안정적”

글  김명규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Moody's)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a2'로 유지했다.

 
무디스가 발표한 '연례 신용분석보고서(Annual Credit Analysis)'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기획재정부가 7월 8일 밝혔다. 등급 전망도 기존의 '안정적(stable)'이 유지됐다. 이번 평가 결과는 지난 4월 24~26일 진행된 연례협의 결과와 최근 경제 상황 등을 반영한 것이다.
 
'Aa2'는 무디스에서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한국은 지난 2015년 12월 처음으로 'Aa2' 등급을 받았고, 현재까지 같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무디스는 보고서상 4가지 카테고리 중 한국의 경제적 강점과 제도적 강점, 재정적 강점을 모두 '매우 높음'으로 평가했다.
 
 
무디스는 보도자료에서 "무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대외수요가 줄어 단기적으로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는 유사 신용등급 국가들과 비교 시 매우 다각화돼 있고 경쟁력이 높다"고 밝혔다. 사진=무디스 홈페이지 캡처

  
대외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경제·재정적 강점은 건재하다는 평가다. 대외무역 전망이 불확실하지만 경제·재정상 펀더멘털(fundamental)이 매우 견고해 완충력(buffer)을 제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정부 재정이 건전해 경기 대응을 위한 정책 여력도 제공하고 있다고 무디스는 판단했다. 제도적 틀이 매우 강력해 잠재적 경제·금융 안정 위험으로부터의 복원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무디스는 보도자료에서 "무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대외수요가 줄어 단기적으로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는 유사 신용등급 국가들과 비교 시 매우 다각화돼 있고 경쟁력이 높다"고 밝혔다.

 
다만 리스크 민감도에 대해서는 '보통'으로 평가했다. 북한 이슈는 주요 도전 과제다.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 위험으로 한국에는 Aa 신용등급 국가에서 특이하게 두드러지는 리스크 민감도가 있다고 무디스는 평가했다. 이와 함께 빠른 인구 고령화에 따른 경제·재정 비용도 장기적 과제로 제시됐다.
  
보고서 원문에는 최근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우려도 정치적 위험 요소로 짤막하게 언급됐다. 강제 징용 배상 판결을 둘러싼 분쟁으로 일본이 한국을 상대로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를 강화한 것을 두고 "(한국의) 경제 성장 둔화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무디스는 적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 측은 "일본 조치가 국가 신용등급에 영향이 있다고 본 것은 아니다"고 전했다.
 
무디스의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들을 위한 연례 업데이트의 성격이며 신용등급을 최종 결정(rating action)한 것은 아니다. 무디스 외 3대 국제신평사 중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매긴 등급은 'AA'로 무디스와 같은 수준이다. 피치(Fitch)의 등급은 'AA-'로 가장 낮다.
 
 

 

[입력 : 2019-07-08]   김명규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