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이 일을 많이 해왔고 현재 원점에 있지 않다"며 “우리는 그들이 기대하는 바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고 있다. 이게 대화의 내용"이라고 소개했다.
북한 핵 폐기가 아닌 핵 동결에 합의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7월 1일 ‘새 협상에서 미국이 북핵 동결에 만족할 수도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으로부터 영변 핵 시설 이상의 것을 받아내는 대신 북한이 핵물질을 더 생산하지 못하고 사실상 동결하도록 하는 새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판문점 회담 몇 주 전부터 이런 아이디어가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서 모습을 드러내 왔다는 것이다.
미국 관리들은 미 행정부의 입장이 누그러진 것은 없다고 밝혔지만 핵 동결은 로드맵의 개요와 비핵화의 의미에 대한 합의도 포함될 수 있는 보다 광범위한 패키지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미북간 톱-다운 방식의 외교 접근법이 고도의 기술적 문제들에 타협점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긍정적 분석도 있다.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 조엘 위트 대표는 "타협을 이끌어낼 수 있는 대면회담이 트윗이나 언론성명, 연설보다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미북간 연락사무소 개소 등 관계개선을 위한 사전 조치도 점쳐진다. 비건 대표는 이와 관련 대북제재를 완화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미국과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개설 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은이 오는 9월 미국을 방문해 3차 북미 정상회담을 갖고, 유엔총회에서 연설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도 11월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재선에 도움이 되는 정치 이벤트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미북 핵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비관론도 만만찮다. 우선 북핵동결 합의 추진설에 대한 미국내 비판은 만만찮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였던 조지프 윤은 "동결 자체가 목표가 될 수 없다"며 "동결을 수용하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이 된다"고 말했다.
미 전문가들은 비핵화 정의부터 대북제재 해제까지 북미간 풀어야할 숙제가 산적해있다고 진단했다. 7월 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이란 핵문제에 대비해 북한 핵문제는 외교적 노력으로 풀 수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신감을 나타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하지만 북핵 문제는 이란 핵문제보다 훨씬 더 어렵다고 WSJ은 진단했다. 이란에 대해선 핵 보유국이 되는 것을 막으려 하고 있는데 반해 북한에 대해서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설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양측은 아직 한반도 비핵화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 것인지 공통된 정의에 합의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 문제는 실무 협상이 재개될 때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버락 오바마 정부시절 북한과 미사일 협상을 진행했었던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고위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하노이 회담에서 취했던 입장에서 변화할 할 수 있다는 의향을 내비친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북한 방문은 그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