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이슈
  2. 사회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한 공원' 서울시, 무장애 친화공원 늘려 나간다

글  김성희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작년 완료한 ‘응봉?간데메공원’까지 총 14곳 무장애 친화공원… 매년 1~2개소씩 조성
휠체어 공간, 통합놀이시설 등 BF 시설 종류?시공법 담긴 ‘BF 공원조성 기본계획’ 마련
서울시 “통합의 사회적 가치 ‘공원’에서 출발할 수 있도록 무장애 친화공원 확대해 나갈 것”
원본보기
서울시는 응봉공원(성동구 금호동)·간데메공원(동대문구 답십리동)에 무장애 시설 조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응봉공원(성동구 금호동)·간데메공원(동대문구 답십리동)에 무장애 시설 조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로써 서울에는 무장애 친화공원 총 14개소가 조성돼 운영 중이며, 시는 앞으로 공원 정비에 ‘서울시 BF(Barrier-free) 공원조성 기본계획’을 지속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지난 '12년 시작된 ‘무장애 친화공원 조성사업’은 공원별 접근성과 이용성, 노후도, 사업효과 등을 고려한 우선순위에 따라 해마다 1~2개소씩 추진되어 왔다.


서울 시내 무장애 친화공원은 여의도공원, 보라매공원, 월드컵공원, 천호공원, 북서울꿈의숲, 선유도공원, 서울숲, 남산공원, 길동생태공원, 중랑캠핑숲, 서서울호수공원, 용산가족공원, 응봉공원, 간데메공원으로, 총 14곳이다.


공원 출입구와 보행로, 유도 및 안내시설, 화장실 등 위생시설 등을 정비했으며 놀이터·주차시설 등 이용이 많은 주요 공간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해 휠체어 이용자나 유아 동반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무장애 시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종합안내판도 정비했다.


서울시는 공원별 시설현황 및 이용 행태 분석을 통해 ▲접근성 개선(산책로의 단차제거 및 경사로 설치, 점자블록 정비, 안내체계 개선 등) ▲편의성 증진(화장실 시설개선, 음수대 및 쉼터 편의시설 개선 등) ▲이용성 향상(통합 휴게시설 및 놀이시설, 운동시설 설치 등) ▲안전성 개선(안전턱 설치, 라인마킹, 안전난간시설 설치 등) 등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공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비했다. 


아울러 설계 과정에서 전문가의 현장 자문을 통해 공원시설물 이용 불편 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해 시공에 반영했으며 공간과 동선 체계 정비에서는 램프 신설, 단차 완화, 포장 개선을 비롯해 필요한 신규 동선을 구축해 단절 없는 순환 동선을 확립했다.


그밖에 통합놀이시설·장애인전용 주차구역 확보, 안내시설 재정비, 화장실 등 주요 시설 등의 이용 편의성도 대폭 높였다.


한편 시는 최근 변화한 법 제도, 현장 여건 등을 반영해 지난해 4월, 신규 공원 조성 및 기존공원 정비 시 상시 활용할 수 있는 「서울시 BF 공원(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조성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제작·배포했다. 


‘무장애 친화공원 기본계획('15.4.)’을 발전시킨 기본계획으로 서울시는 직영 공원 23개소 대상지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 올해부터 공원 정비 시 개선방안을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시 BF 공원(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조성 가이드라인’은 신규공원 조성에 의무화된 ‘BF 공원 인증절차’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기존 공원 정비 시 상시 활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화 된 것이 특징으로, 서울 시내 자치구뿐만 아니라 타 지자체 공원에서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게끔 제작됐다.


가이드라인은 ?공원 이용에 어느 누구라도 불편함과 차별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해결 방법 제시 ?현실성에 기반해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해결책을 고려하는 것을 원칙으로 마련됐으며 접근성·안내시설 적합성·차별 없는 시설 이용성·BF 보행로 안전성, 크게 4개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BF 인증이 가능하도록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또 장애·비장애 아동 모두 함께 접근 및 이용 가능한 통합놀이시설, 휠체어 사용자 등도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 등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점자블록·음성유도기, 장애인 등 이용 가능한 관람석 또는 열람석, 휠체어도 이용할 수 있는 음수대 등 11종의 기타 BF 시설 기능과 종류, 시공방법, 설치 사례 등도 실렸다.


‘서울시 BF 공원(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조성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은 서울시 누리집(www.seoul.go.kr)과 국가기록원 누리집(www.archives.go.kr) 등에서 상시 확인할 수 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서울의 공원이 어린이·어르신·장애인·임산부 등 누구나 함께 어울리고 즐길 수 있는 휴식처가 될 수 있도록 무장애 친화공원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 지속가능한 포용 도시, 통합의 사회적 가치가 ‘공원’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도록 공원 조성에 ‘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기준을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 : 2025-02-04]   김성희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