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이슈
  2. 사회

자살 감소 추세...老人 자살률은 OECD 평균 세 배

복지부·중앙자살예방센터 ‘2019년 자살예방백서’ 발간...10만명당 자살률 24.3명, 2017년 기준 1만2463명 숨져, 2명 중 1명 학생·가사·무직, 3~5월·8~10월 높아, 2011년 이후 사망자 21% 감소

글  이은영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우리나라 자살자 수가 점차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가 6월 11일 발간한 '2019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상 자살사망자 수는 1만2463명으로 전년(1만3092명)보다 629명(4.8%) 감소했다. 또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4.3명으로, 2016년 25.6명보다 1.3명(5.1%) 줄었다.
  
이처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2011년 이후 6년 사이 21% 이상 줄어들었지만 노인(老人) 자살률은 전체 평균보다 두 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2년 연속 제자리걸음을 유지했지만 사망자 절반 이상이 학생이나 가사, 무직 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백서에 따르면, 2017년도 사망자 통계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지나 유럽발 금융위기 직후로 사망자수와 비율이 가장 높았던 2011년과 비교하면 사망자 1만5906명에서 3443명(21.6%), 자살률 31.7명에서 7.4명(23.4%) 감소했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청소년과 중·장년층에 해당하는 15~64세는 2009년과 2011년 31.2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31.2명 이후 2017년 24.3명 감소했다.
      
2003년부터 가파르게 상승해 2005년 80.9명, 2010년 81.9명까지 높아진 65세 이상 노인층도 2011년부터 하락세로 돌아서 2017년 47.7명으로 41.8% 큰 감소폭을 보였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 평균보다 1.96배 높았다. 15세 미만은 1987년부터 2017년까지 0.2~1.0명 사이에 분포하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대를 세분화해 1년 전과 비교하면 대부분 연령대에서 자살률이 줄었으나 20대는 16.4명으로 전년과 차이가 없었다. 감소폭은 60대가 34.6명에서 30.2명으로 12.8%나 감소했다.
      

 

 


 
사망자수는 50대가 2568명으로 가장 높았는데 자살률은 연령대가 많아질수록 높아졌다. 30대 24.5명에서 40대 27.9%, 50대 30.8%, 60대 30.2%, 70대 48.8%, 80세 이상 70.0% 등으로 집계됐다.
 
응급실에 내원한 자해·자살 시도자 수는 20대가 5942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5482명), 30대(5076명) 순이었다.
 
연령대에 따라 동기를 단순화하면 10~30세는 정신적 어려움, 31~50세는 경제적 어려움, 51~60세는 정신적 어려움, 61세 이상은 육체적 어려움 등으로 서로 다른 이유를 주로 보였다. 남성(34.9명)이 여성(13.8명)에 비해 자살률이 2.5배 더 높았다. 자살 사망자수에서 남성(8922명)이 차지하는 비율은 71.6%였고, 여성(3541명)은 28.4%로 약 7대3의 비율을 보였다. 반면 응급실에 내원한 자해·자살 시도자는 남성(1만2843명)보다 여성(1만5482명)이 많았다.
 
직업별로는 학생, 가사, 무직이 6704명으로 전체의 53.8%를 차지했다. 이어 서비스 종사자 및 판매 종사자(10.5%), 미상, 군인(사병제외)(6.9%), 단순노무 종사자(6.0%) 등 직업군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집단별 인구를 표준화해 10만명당 사망자수를 비교해 보면 충남이 26.2명으로 가장 높았고 전북(23.7명), 충북(23.2명), 강원(23.0명) 순이었다. 전국 평균인 20.7명을 기준으로 대부분 지역이 20명 이상 자살률을 보인 가운데 서울(18.1명)과 세종(16.6명)만이 10명대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추이를 보면 3~5월과 8~10월 사이 자살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2017년 5월이 1158명(9.8%)으로 가장 많았으며 1월이 923명(7.4%)으로 가장 적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리투아니아 포함, 콜롬비아 제외) 자살률(2016년 기준)을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25.8명)는 리투아니아(26.7명) 다음으로 높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34개 회원국)이 2011년 79.7명에서 2015년 58.6명까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회원국 평균(18.8명)의 3.1배, 두번째로 높은 슬로베니아(38.7명)의 1.5배나 높았다. 10~24세 청소년의 경우 10.7명으로 회원국 중 11번째로 높았다.
 
장영진 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2017년 자살률은 2016년에 비해 감소했지만 여전히 OECD 최고 수준으로 심각한 상황"이라며 "지난해 1월23일 여러 부처가 함께 수립·시행한 '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을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자살예방백서를 통해 지역 실무자 및 관계자들이 자살 현황 및 지역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연구자에게 근거 중심의 연구·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와 유사한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상담전화(1393), 자살예방핫라인(1577-0199), 희망의 전화(129), 생명의 전화(1588-9191), 청소년 전화(1388) 등을 통해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다음은 '2019 자살예방백서' 요약문이다.
  
한국은 자살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으로 해결 가능한 사회문제라는 인식을 갖고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국정과제에 포함시키면서 2018년 1월 23일에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을 공표하였다. 한국은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에서 수립한 과제들을 수행함으로써 정부, 관계부처, 재계, 종교계, 민간기관 등 사회 전반적으로 자살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제공한 2017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자살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17년 자살 사망자 수는 2016년 13,092명 대비 629명이 감소한 12,463명으로 나타났다. 이를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로 환산하면 24.3명으로 2016년 대비 1.3명이 감소하였다.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자살률이 감소하여 4년 동안 2.9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자살률은 2016년 36.2명에서 34.9명으로, 여성의 자살률은 2016년 15.0명에서 13.8명으로 감소하였다. 남성의 자살률은 2016년과 마찬가지로 여성보다 더 높았다. 모든 연령에서 자살률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지역에 따른 자살 현황을 연령표준화 자살률로 비교해 보면 자살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청남도였다.
 
2019 자살예방백서에서는 국내의 자살예방정책 및 사업을 수행하는 실무자에게 자살예방정책을 소개하고 국민들에게는 국내의 자살 실태와 자살예방을 위해 국가에서 수행하는 정책적 내용을 소개하고자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백서는 [기본편] [특집편] [부록편]으로 구성하여 자살 현황과 실태 및 국가자살예방정책사업수행기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한 자살예방사업 우수 사례, WHO에서 발간한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번역본을 수록하였다.
 
[기본편]에서는 최근 국내 자살 실태에 대한 통계청, 경찰청,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자료를 분석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대상별로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각 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에서 수행한 각종 통계조사들 중 자살 관련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내용을 통해 한국의 청소년, 성인, 노인, 장애인 등과 관련한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특집편]에서는 자살예방을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의 내용을 담았다. 마지막으로 [부록편]에서는 WHO에서 2018년에 발간한 ‘자살예방 지역사회 참여 툴킷(Preventing suicide; A community engagement toolkit)’을 번역하여 수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자살예방 사업뿐만 아니라 자살예방을 위해 국제사회가 노력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 : 2019-06-11]   이은영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