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우리나라 인구이동률이 4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서울' 흐름도 30년째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이 1월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작년 인구 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2.6%(19만3000명) 감소한 710만4000명이었다. 1976년 677만3000명 이후 43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년 전보다 0.4%포인트(p) 감소한 13.8%이었다.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무른 것이다.
시도(市道) 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66.4%(471만9000명), 시도 간 이동은 33.6%(238만5000명)로 1년 전보다 각각 3.0%, 1.8% 하락했다. 시도 내 이동률은 9.2%, 시도 간 이동률은 4.6%로 각각 0.3%p, 0.1%p 줄어들면서 총 인구이동률을 끌어내렸다.
인구 이동자 수는 1970년(404만7000명) 통계 작성 이후 1972년(368만8000명) 바닥을 찍은 뒤 1988년 996만9000명까지 치솟았다. 그 이후로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구이동이 계속 감소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령화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이동을 많이 하는 20~30대 인구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고 이동 성향이 낮은 60세 이상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장기적으로 인구 이동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대별 이동률을 보면 20대(23.1%)와 30대(21.0%)가 가장 높았다. 반면 60대는 8.7%, 70대 6.6%, 80세 이상 7.6%에 그쳤다. 중위연령(나이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은 전년보다 0.1세 감소한 34.1세였지만, 10년 전인 2009년에 비교하면 2.4세 더 높아졌다.
교통·통신의 발달로 원거리 통학이나 출·퇴근이 가능해지면서 가족 단위 이동이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신규 입주 예정 아파트는 전년보다 11.6%(5만3000건)가 감소했으며 주택매매 거래량도 1년 전보다 6.0%(5만1000건) 줄면서 인구 이동을 끌어내렸다.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서울의 순유출 규모는 2018년(11만명)보다는 줄었지만, 1990년부터 30년째 한 해도 거르지 않고 '탈서울' 현상이 계속됐다.
인구이동 사유로는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순이었다. 전년 대비 주택 사유(-16만3000명)에 의한 이동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 시도 내 이동 사유는 주택(47.8%)이, 시도 간 이동 사유는 직업(34.8%)이 가장 많았다.
4대 권역별로 봤을 때 수도권은 8만3000명이 순유입했다. 2017년 순유입으로 전환한 이후 전년 대비 순유입 규모가 2만3000명 증가했다. 중부권도 1만1000명이 순유입됐다. 반면 호남권과 영남권은 각각 2만5000명, 7만1000명 순유출됐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년 전보다 0.4%포인트(p) 감소한 13.8%이었다.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무른 것이다.
시도(市道) 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66.4%(471만9000명), 시도 간 이동은 33.6%(238만5000명)로 1년 전보다 각각 3.0%, 1.8% 하락했다. 시도 내 이동률은 9.2%, 시도 간 이동률은 4.6%로 각각 0.3%p, 0.1%p 줄어들면서 총 인구이동률을 끌어내렸다.
인구 이동자 수는 1970년(404만7000명) 통계 작성 이후 1972년(368만8000명) 바닥을 찍은 뒤 1988년 996만9000명까지 치솟았다. 그 이후로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구이동이 계속 감소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령화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이동을 많이 하는 20~30대 인구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고 이동 성향이 낮은 60세 이상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장기적으로 인구 이동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대별 이동률을 보면 20대(23.1%)와 30대(21.0%)가 가장 높았다. 반면 60대는 8.7%, 70대 6.6%, 80세 이상 7.6%에 그쳤다. 중위연령(나이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은 전년보다 0.1세 감소한 34.1세였지만, 10년 전인 2009년에 비교하면 2.4세 더 높아졌다.
교통·통신의 발달로 원거리 통학이나 출·퇴근이 가능해지면서 가족 단위 이동이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신규 입주 예정 아파트는 전년보다 11.6%(5만3000건)가 감소했으며 주택매매 거래량도 1년 전보다 6.0%(5만1000건) 줄면서 인구 이동을 끌어내렸다.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서울의 순유출 규모는 2018년(11만명)보다는 줄었지만, 1990년부터 30년째 한 해도 거르지 않고 '탈서울' 현상이 계속됐다.
인구이동 사유로는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순이었다. 전년 대비 주택 사유(-16만3000명)에 의한 이동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 시도 내 이동 사유는 주택(47.8%)이, 시도 간 이동 사유는 직업(34.8%)이 가장 많았다.
4대 권역별로 봤을 때 수도권은 8만3000명이 순유입했다. 2017년 순유입으로 전환한 이후 전년 대비 순유입 규모가 2만3000명 증가했다. 중부권도 1만1000명이 순유입됐다. 반면 호남권과 영남권은 각각 2만5000명, 7만1000명 순유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