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이슈
  2. 경제·글로벌

국내 대표 경제학자들 “文정부 소득주도성장론, 오히려 경제 기초 체력 훼손”

2019년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경제학자 1500여명 참석...취업자 증가율 하락·소비 위축

글  김명규 기자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한국을 대표하는 경제학자들이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해 성토했다.
  
한국경제학회를 비롯한 55개 경제학회는 2월 14일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에서 1500여명의 국내외 경제학자가 참석한 가운데 ‘2019년 경제학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해당 경제학 공동학술대회는 매년 국내 경제학계가 한 자리에 모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경제 현안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행사다.
   
올해 전체회의 주제는 ‘한국경제, 정부 정책의 평가와 포용적 과제’였다.
 
조선비즈 보도에 따르면, 학술대회에 참석한 경제학자들은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해 사실상 ‘F학점’을 줬다. 고용, 소비, 총수요 등 소득주도성장의 정책 목표는 달성하지 못하고 도리어 경제 기초 체력을 훼손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득주도성장론이 경제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연구주제로 논의되고, 실증분석을 통해 ‘낙제점’ 평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소비가 다소 늘었지만, 서비스업 등 내수 업종은 오히려 침체됐다. 고용이 감소했다"면서 “임시·일용직 고용이 큰 폭으로 줄면서 소득 분배는 악화됐을 가능성이 높다. 투자는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생산성도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총수요 측면에서 소득주도성장론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생산성과 투자가 꺾이면서 장기성장에 대한 전망은 어두워졌다"고 했다.
   
올해 전체회의에서는 최인·이윤수 서강대 교수(경제학)가 공동으로 '신정부 거시 경제 성과의 실증평가'를 발표했다. 두 학자는 문재인 정부 시기(2017년 3분기~2018년 3분기)와 이전 시기(2013년 1분기~2017년 2분기)의 GDP성장률, 소비, 투자, 생산성, 고용 등을 비교했다. 주요 경제 지표의 장기 추세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박스-젠킨스(ARIMA) 모형을 이용해 분석했다.
 
그 결과 취업자수 증가율이 2.07%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는 2.19%p, 비임금근로자(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를 포함)는 2.53%p 하락했다. 근로자의 경우 임시직은 4.03%p, 일용직은 4.32%p 각각 급락했다. 상용직만 1.39%p 늘었다.
     
최인 교수는 "소득주도성장이 소득분배에 이로운 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검증하지 않았으나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의 고용감소에 비추어 볼 때 회의적이다"라고 평가했다.
  
두 학자는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근로 시간이 감소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노동투입 증가율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4.32% 감소했는데, 고용 증가율 감소폭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이윤수 교수는 "최저임금 인상에 대응해 노동 시간이 줄면서 임금 상승 효과가 상쇄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소비도 개선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민간소비 증가율은 1.14%p 높아졌다. 하지만 국내 소비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수입 소비재를 제외할 경우 국내 소비의 증가율 증가폭은 0.46%p에 불과했다. 게다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내수 산업 생산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윤수 교수는 "도소매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내수 업종에서 생산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며 "사실상 내수 소비는 쪼그라들었다고 봐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성장잠재력도 크게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의 핵심 역할을 맡는 총요소생산성(TFP·Total Factor Productivity)의 경우 0.05%p(솔로우모형 기준)~1.14%p(노동투입량기준) 하락했다. 이는 향후 잠재성장률이 하락했다는 의미다.
  
투자 또한 큰 폭으로 꺾였다. 투자를 의미하는 자본형성은 5.14%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설비투자의 급격한 감소, 고용 감소, 총요소생산성 감소 등으로 잠재적 경제성장율이 저해될 것으로 우려 된다"고 전했다. 이어 "그럼에도 소득주도성장이 우리나라에서 대두된 건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추구해 정치인들에게는 달콤한 이론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입력 : 2019-02-14]   김명규 기자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