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이슈

'아이 울음' 끊긴 충북 곳곳, 지역소멸로 사라질 판

11개 시군 중 7개 시군이 소멸위험 진입...도내 6개 군 5월 말 기준 출생아 수 두 자릿수 불과

글  온라인뉴스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거나 생겨나지 않는 마을이 가까운 미래에 사라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흐름이다. 해마다 심각해지는 농촌 지역 저출산 문제는 아이 울음소리가 끊긴 농촌 마을이 점점 늘어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충북 일부 군의 몇몇 농촌 마을도 수십 년 동안 새로운 인구 유입이 없다시피 해 노인들이 가까스로 마을의 명맥을 유지하는 곳도 늘고 있다. 이 같은 위기 요인의 확산으로 충북에서 마을이 사라지는 것은 물론, 읍·면이 통째로 사라지는 게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특히 충북은 저출산과 급속한 고령화의 흐름에 직격탄을 맞으며, 최근 소멸위험도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보다 세밀하고 체계적인 인구 유입 전략은 수립하지 않은 채 단발성 지원으로 자연적인 인구증가를 기대하는 지자체의 풍토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출생아 수는 3488명으로 전년 동월의 3908명보다 420명이나 줄었다. 반대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같은 기간 26만7017명에서 28만737명으로 1만3720명이 증가했다.
 
이를 시군별로 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 6개 군의 5월 출생아 수는 두 자릿수를 넘어서지 못했다. 단양군은 지난 5월 말 기준 출생아가 19명으로 1년 전 38명에서 무려 절반이 감소했으며, 괴산군도 29명으로 1년 전 41명에서 12명이 줄었다. 단양군 인구는 이 기간 2만9392명으로 도내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군이 됐다. 보은군도 같은 기간 39명이 출생해 1년 전보다 11명이나 덜 태어났다.
 
옥천군과 영동군은 각각 76명과 91명으로 두 자릿수에 머물렀지만, 지난해보다 각각 4명과 2명이 늘어 도내에서 출생아 수가 늘어난 유일한 지자체였다. 보은군과 증평군, 괴산군도 각각 3만2653명과 3만7302명, 3만7566명으로 3만 명대에 머물러있다.
 
이렇게 지난 5월 말까지 도내 총인구가 지난해보다 3144명이나 줄어들었지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같은 기간 1만3720명이 증가했다. 이는 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충북도의 단면을 고스란히 드러낸 수치다.
 
코로나19로 지방소멸 위험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기준 소멸위험 지역은 지난해 5월 93개(40.8%)에서 올해 4월 105개(46.1%)로 12곳 증가했다. 이는 각 연도 5월 기준으로 2017년부터 2018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1년간 각각 4곳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가파른 상승세다.
 
도내에서는 음성군과 제천시가 이번에 새롭게 소멸위험 지역으로 진입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현재 구성원이자 미래 인구 구성에 영향을 미칠 여성 인구가 고령 인구 절반에 못 미치는 0.5 미만일 때를 '소멸 위험' 수준으로 분류했다. 인구 재생산 주기를 고려할 때 사실상 해당 공동체 인구 기반은 붕괴하고 사회경제적 기능을 상실한다는 의미다.
괴산군과 보은군, 단양군, 영동군, 옥천군 등 5개 군은 인구감소로 '소멸위험'이 최근 5년 사이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음성군과 제천시를 포함해 도내 11개 시·군 중 무려 7개 시군이 소멸위험 지역에 해당하는 셈이다. 하지만 지자체에서는 지역마다 다른 상황은 고려하지 않은 채 단편적인 출산 축하금을 파격적으로 인상하는 것 외에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다. 제천시도 최근 셋째아 출산 축하금을 5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4배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인구 증가를 위해서는 지역별로 더욱 세분화한 이른바 '핀셋'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같은 지자체 내에서도 젊은 인구가 꾸준히 유입돼 도시화하는 지역과 귀농·귀촌이 증가하는 지역, 고령화가 급속한 지역 등 지역마다 상황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충북연구원 관계자는 "모든 지역의 인구를 늘리는 방안이 나올 가능성은 매우 낮다"라며 "특정 읍·면을 대상으로 전략적 인구 증가 대책과 소멸 대응 방안 마련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출처=뉴시스
 

 

[입력 : 2020-10-04]   온라인뉴스팀 more article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sns 공유
    • 메일보내기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스팸방지 [필수입력] 왼쪽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포토뉴스

Future Society & Special Section

  • 미래희망전략
  • 핫뉴스브리핑
  • 생명이 미래다
  • 정책정보뉴스
  • 지역이 희망이다
  • 미래환경전략
  • 클릭 한 컷
  • 경제산업전략
  • 한반도정세
뉴시스
TOP